백엔드개발자가 API 를 만들동안
더미데이터를 만들고 있어야한다.
- 실제 데이터가 명목상 존재하는 것처럼 다루는 유순한 정보를 의미
(시간적 손실을 방지하고자)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D%94%EB%AF%B8_%EB%8D%B0%EC%9D%B4%ED%84%B0
더미 데이터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정보과학에서 더미 데이터(dummy data)는 유용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지만 공간을 예비해두어 실제 데이터가 명목상 존재하는 것처럼 다루는 유순한 정보를 의미한다. 더미 데이터는 테스트 및
ko.wikipedia.org
서버가 없는데 로그인을 어떻게 할까.
더미데이터를 만들면된다.
const [isLoggedIn,setIsLoggedIn] =useState(false);
그리고 현재는 리액트팀에서
container component ,
presentaional component 이렇게 나누면 비효율적이라고 발표.
가상의 컴포넌트를 생각하고 컴포넌트만을 먼저 작성하자.
100줄 넘지 않게 컴포넌트 잘게잘게 자르자
(재사용 할 가능성이 있으면 무조건 잘라)